2025 근로장학금 : 시급·시간·2차 통합신청 가이드
본문 바로가기
평생학습 & 자기계발

2025 근로장학금 : 시급·시간·2차 통합신청 가이드

by Mentoris Academy 2025. 8. 26.
반응형

근로장학금이란? 개념과 지원 자격 총정리 ✅ (2025년 2학기 2차 통합신청 반영)


근로장학금은 대학생이 교내·교외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장학금을 받는 제도입니다. 😊 학비·생활비 부담을 줄이면서 행정지원·도서관·연구실·공공기관 등에서 실무 경험까지 쌓을 수 있어요. 특히 2025년 2학기에는 국가장학금·주거안정장학금·근로장학금을 한 번에 신청하는 2차 통합신청이 진행되므로, 근로장학금 지원을 고민 중이라면 지금이 최적의 타이밍입니다.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2025 2차 근로장학금 신청 방법과 절차 알아보기

정책브리핑-"국가장학금·주거안정장학금·근로장학금 등 2학기 2차 통합 신청" 기사보기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 근로장학금 한눈에 보기

근로장학금은 학업을 병행하면서 안정적으로 소득을 얻고, 업무 습득·커뮤니케이션·문서작성 등 실무역량을 키우는 데 특화된 제도예요. 단순 아르바이트와 달리 교내 근로장학금은 대학 내 행정/도서관/연구실 보조 중심, 교외 근로장학금은 공공기관·지역아동센터·복지관 등 외부 현장에서 사회적 가치를 체험합니다. 결과적으로 근로장학금은 “생활비 완충 + 실무 포트폴리오”를 동시에 확보하는 경로입니다. 🙂

 

🏫 교내 근로장학금 vs 🏢 교외 근로장학금

근로장학금은 활동 장소와 업무 성격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구분 교내 근로장학금 교외 근로장학금
주요 근로처 도서관, 학과/대학본부 행정실, 전산/미디어실, 연구실 등 공공기관, 지자체 센터, 지역아동센터/복지관, 교육/문화시설 등
업무 성격 자료정리, 안내, 문서·행정 보조, 실습실 관리 등 행정 지원, 프로그램 운영 보조, 지역사회 서비스 보조 등
경험 포인트 유관부서 업무 이해, 학내 네트워크, 교수·조교 협업 대외 커뮤니케이션, 공공서비스 경험, 지역 네트워크
시급(2025) 10,030원 12,430원

둘 중 무엇이 더 좋다기보다, 본인의 전공·진로와 맞추면 근로장학금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예를 들어 사범계열은 지역교육기관, 사회복지·아동계열은 복지관/지역아동센터, 행정·경영계열은 공공기관/학내 행정 부서가 시너지가 커요. 💡

🎯 지원 자격(기본·우선선발)과 선발 팁

근로장학금 기본 요건은 보통 대한민국 국적, 재학생(입학예정자 포함), 직전학기 C0(70/100) 이상, 학자금 지원구간 9구간 이하이며,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장애학생·다자녀 등은 우선선발 가능성이 높습니다. “직전학기 미선발자 60% 이상 권장” 등 형평성 장치도 있어요. 학과 행정실 공지·학교 장학공지와 함께 한국장학재단 안내를 수시로 확인하면 가산점을 챙기기 수월합니다.

  • 신청 전: 학자금 지원구간 산정자료(가구원 정보) 최신화, 직전학기 성적 확인
  • 선발 팁: 근로계획서에 전공 연계성·기여 가능업무·시간관리 계획을 구체적으로
  • 근로 중: 출근부 정확 입력(분 단위), 업무 매뉴얼 숙지, 개인정보·보안 준수
  • 경험화: 활동기록을 포트폴리오/자소서 STAR 방식으로 정리(상황-과제-행동-결과)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 근로시간·장학금 단가(2025년 기준)

근로장학금은 제도적으로 근로시간과 단가가 명확하여 예측 가능한 점이 장점입니다.

  • 시급(2025): 교내 10,030원 / 교외 12,430원
  • 학기당 최대 총 근로시간: 기본 640시간 (특별기준 대상 일부 800시간까지 가능)
  • 학기 중 주당 상한: 일반적으로 20시간, 단 장애대학생 봉사유형/농어촌 지역 근로 등은 학기 중에도 주 40시간 가능
  • 방학 중: 주 40시간 내 근로 가능(학교/부처 지침에 따름)

예시 계산: 학기 중 주 15시간 × 4주 × 시급 10,030원(교내) ≈ 월 60만 원 전후. 방학 중 주 40시간 × 4주 × 12,430원(교외) ≈ 월 199만 원 전후(실제 지급은 출근부 확정·학교지급일정에 따름).

 

📝 2025년 2학기 2차 통합신청 방법

이번 2차 통합신청은 국가장학금, 주거안정장학금, 근로장학금을 한 번에 접수합니다. 지원 대상은 재학생·복학생·2학기 신입/편입/재입학생 등이며, 기한은 2025.8.13.(수) 09:00 ~ 9.10.(수) 18:00입니다. 마감 직전에는 접속 지연이 잦으므로 하루라도 먼저 제출하세요.

  1. 접속: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또는 모바일 앱 로그인
  2. 신청: 통합신청 메뉴에서 개인정보·가구원동의·서류제출(필요 시)
  3. 근로 희망 체크: 근로장학금 참여희망, 희망 근로유형/근무시간대 입력
  4. 제출 후: 소속 대학 장학팀 공지(근로배정/면담/교육 등) 수시 확인

한국장학재단 통합신청 바로가기

한국장학재단 android 앱 다운로드

한국장학재단 app store 다운로드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 전공·커리어에 유리한 근로 선택법

근로장학금의 가치는 “업무-전공-커리어” 정합성에서 배가됩니다. 인문/사회계열은 학내 행정·기획 보조나 공공기관 프로그램 운영 보조를, 이공계열은 연구실·실험실 안전관리·데이터 정리를, 예체능계열은 미디어실·공연지원·교육프로그램 보조를 추천합니다. 교외의 경우 지역사회 접점(복지/교육/문화)에서 대면 소통 경험을 쌓아두면 면접 질문에 활용하기 아주 좋습니다. 🙂

  • 이력 키워드화: 직무기술서 용어(문서관리, 데이터정리, 민원응대, 프로그램 운영)를 활동기록에 반영
  • 성과 가시화: “열람자료 정리 2,000건, 만족도 4.7/5 개선”처럼 수치화
  • 추천서·평가: 지도 담당자의 코멘트를 미리 요청해 향후 추천서 재사용
  • 개인정보·보안: 학생/민원정보 취급 시 보안수칙 필수(문서 파쇄·PC잠금 습관화)

❓ 자주 묻는 질문(FAQ)

Q1. 근로장학금과 일반 아르바이트의 차이는?
근로장학금은 장학제도이므로 소속 대학·한국장학재단 기준과 선발·근로시간 제한, 출근부/지급체계가 명확합니다. 학내 네트워크·추천서·직무 레퍼런스 확보에 유리합니다.

Q2. 학기 중 최대 근로시간은?
일반적으로 주 20시간 내에서 운영되며, 일부 유형(장애대학생 봉사, 농어촌 등)은 학기 중에도 주 40시간까지 가능합니다. 방학은 주 40시간 범위가 일반적입니다.

Q3. 시급과 최대 시간은 매년 바뀌나요?
최저임금·업무처리기준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은 교내 10,030원 / 교외 12,430원, 학기당 기본 640시간입니다.

Q4. 주거안정장학금과 동시 신청하면 좋은 점?
원거리 통학 주거비를 보전하면서 근로장학금으로 생활비/경험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재정 안정성과 경력개발 모두에 이점이 큽니다.

 

✅ 마무리

근로장학금은 학비·생활비 부담을 경감하고 실무역량·네트워크를 함께 구축하는 실속형 제도입니다. 2025년 2학기 2차 통합신청 기간(8.13~9.10, 18:00 마감) 안에 교내 근로장학금 또는 교외 근로장학금을 전공·진로와 연결해 전략적으로 선택해 보세요. 제출 후에는 소속 대학 장학팀 공지와 배정 절차(면담·교육·출근부)를 꼼꼼히 확인하면 실패 확률이 크게 줄어듭니다. 📚✨

정책브리핑-"국가장학금·주거안정장학금·근로장학금 등 2학기 2차 통합 신청" 기사보기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2025년 2차 근로장학금 신청

반응형